전기기사 필기5 [전기자기학] ⑤ 전기 영상법 * 전기 영상법 전기 영상법은 전기력이나 전계, 전위 등을 구하는 해법이다. 1. 무한 평면 도체와 점전하 ① 무한 평면 도체와 점전하 사이에 작용하는 전기력 전기력 앞의 부호가 음의 부호인 것은 흡입력을 뜻한다. ② 무한 평면 도체 표면에 유도되는 최대 면전하 밀도 2. 무한 평면 도체와 선전하 ① 무한 평면 도체와 선전하 사이의 전기력 * 접지 도체 구와 점전하 ② 영상 전하의 위치 ③ 접지 도체 구와 점전하 사이의 전기력 2020. 6. 10. [전기자기학] ④ 유전체 * 분극의 세기 * 서로 다른 두 유전체의 경계 조건 ① 전속밀도의 법선 성분은 양측에서 같다. ② 전계의 접선 성분은 양측에서 같다. ③ 입사각과 굴절각에 대한 tan값의 비는 유전율의 비와 같다. * 유전체 중의 정전 에너지와 정전력 * 유전체의 경계면에 작용하는 힘 전계가 경계면에 수직 또는 평행으로 가해지는 경우 경계면에 수직으로 힘이 작용하게 되는 데 이 힘을 '멕스웰 (Maxwell) 응력' 이라고 한다. ① 전계가 경계면에 수직으로 가해지는 경우, 경계면과 직각 방향으로 인장력 작용. 이 때 힘의 방향은 ε이 작은 유전체 쪽으로 향한다. ② 전계가 경계면에 평행으로 가해지는 경우, 경계면과 직각 방향으로 압축력 작용. 이 때 힘의 방향은 ε이 작은 유전체 쪽으로 향한다. 2020. 6. 10. [전기자기학] ③ 정전 용량 * 정전 용량 (커패시턴스 : Capacitance) ① 두 평행 도체 판의 정전 용량 (도체 판 간격 d, 판의 넓이 S) ② 구 도체의 정전 용량 (반지름 a) ③ 동심 구 도체의 정전 용량 (내구 반지름 a, 외구 반지름 b) ④ 동축 원통 도체(케이블)의 정전 용량 (내측 원통 반지름 a, 외측 원통 반지름 b) ⑤ 두 평행 도선의 정전 용량 (두 도선 간의 거리 d, 도선의 반지름 a) ⑥ 선과 대지 간의 정전 용량 (선의 반지름 a, 선과 대지 간의 높이 h) * 정전 에너지 2020. 6. 9. [전기자기학] ② 정전계 * 정전계 정전계란 정지된 전하에 의한 전계를 말하며 정전에너지가 최소로 되는 전하 분포의 전계로 설명할 수 있다. * 클롱의 법칙 클롱의 법칙은 곧, 전기력을 구하는 방법이다. 진공의 유전율은 기본적으로 외워두는 편이 좋다. * 정전 유도와 정전 차폐 정전 유도란 대전체를 전기적으로 중성인 물체에 가까이 가져갈 때 대전체와 가까운 부분은 다른 부호의 전하가, 대전체에 먼 부분은 같은 부호의 전하가 분포하게 되는 현상이며 전기력에 의해 전자가 이동하여 도체 내의 전하 분포가 변하는 것을 말한다. 정전 차폐는 두 도체 상호 간에 작용하는 전기력을 차단하여 정전 유도를 막는 것을 말한다. 이는 접지된 도체로 두 도체 중 한 도체의 주위를 포위하여 접지된 외부에서 오는 전기력을 완전히 차폐하는 원리이다. 예시.. 2020. 6. 9. [전기자기학] ① 벡터(vector) * 벡터 (vector) 크기와 방향으로 결정되는 양. 전기력, 자기력, 변위 등. * 스칼라 (scalar) 크기만으로 결정되는 양. 에너지, 전위, 길이, 시간, 온도 등. * 스칼라의 구배 (Gradient) 스칼라 함수 V일 때, grad V = ▽V를 V의 구배라고 한다. 식에 대한 결과는 벡터로 나온다. * 벡터의 발산 (Divergence) 벡터 E = Ex i + Ey j + Ez k인 경우 벡터 E의 발산은 div E이다. 식에 대한 결과는 스칼라로 나온다. * 벡터의 회전 벡터 H = Hx i + Hy j + Hz k의 회전은 rot H로 표시하고 계산은 rot H = ▽×H로 한다. * 가우스(Gauss)의 발산 정리 체적 적분과 면적 적분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정리. 발산의 정리는 임.. 2020. 6. 8. 이전 1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