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자기학4 [전기자기학] ⑧ 자성체 * 자화의 세기 - 자속 밀도 * B-H 곡선 ( 히스테리시스 곡선 ) * 자성체의 경계면 ① 자속 밀도 B의 법선 성분 ② 자계 H의 접선 성분 ③ 자계 H의 법선 성분과 자속 밀도 B의 접선 성분 ④ 투자율과 경계면의 입사각, 굴절각 ⑤ 투자율에 따른 입사각과 굴절각, 자속밀도 B, 자계 H * 자기회로 - 철심과 공극의 자기저항 합성 - 철심과 공극의 자기저항과 철심만의 자기저항의 비 * 전자석의 흡인력 2020. 6. 29. [전기자기학] ⑥ 전류 * 전류 1 [A]는 1 [s] 동안에 1 [C]의 전하가 이동할 때의 전류이다. ③ 옴의 법칙 전류는 전위차(전압)에 비례하고 전기 저항에 반비례한다. * 전기 저항 전기저항은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는 요소이다. 고유저항에 비례, 도선의 길이에 비례, 도선의 단면적에 반비례 - 도전율 * 컨덕턴스 * 저항과 정전용량의 관계 * 열전현상 ① 펠티에 효과 (Peltier Effect) 두 종류 금속을 접속하고 전류가 흐르면 접속점에서 주울열 이외의 발열 또는 흡열 발생 ② 톰슨 효과 (Thomson Effect) 동일 금속의 두 부분의 온도를 다르게 하고 전류를 흘릴 때 온도 구배가 있는 부분에서 주울열 이외의 발열 또는 흡열 발생 ③ 제벡 효과 (Seebeck Effect) 두 종류의 금속으로 폐회로를 만.. 2020. 6. 25. [전기자기학] ② 정전계 * 정전계 정전계란 정지된 전하에 의한 전계를 말하며 정전에너지가 최소로 되는 전하 분포의 전계로 설명할 수 있다. * 클롱의 법칙 클롱의 법칙은 곧, 전기력을 구하는 방법이다. 진공의 유전율은 기본적으로 외워두는 편이 좋다. * 정전 유도와 정전 차폐 정전 유도란 대전체를 전기적으로 중성인 물체에 가까이 가져갈 때 대전체와 가까운 부분은 다른 부호의 전하가, 대전체에 먼 부분은 같은 부호의 전하가 분포하게 되는 현상이며 전기력에 의해 전자가 이동하여 도체 내의 전하 분포가 변하는 것을 말한다. 정전 차폐는 두 도체 상호 간에 작용하는 전기력을 차단하여 정전 유도를 막는 것을 말한다. 이는 접지된 도체로 두 도체 중 한 도체의 주위를 포위하여 접지된 외부에서 오는 전기력을 완전히 차폐하는 원리이다. 예시.. 2020. 6. 9. [전기자기학] ① 벡터(vector) * 벡터 (vector) 크기와 방향으로 결정되는 양. 전기력, 자기력, 변위 등. * 스칼라 (scalar) 크기만으로 결정되는 양. 에너지, 전위, 길이, 시간, 온도 등. * 스칼라의 구배 (Gradient) 스칼라 함수 V일 때, grad V = ▽V를 V의 구배라고 한다. 식에 대한 결과는 벡터로 나온다. * 벡터의 발산 (Divergence) 벡터 E = Ex i + Ey j + Ez k인 경우 벡터 E의 발산은 div E이다. 식에 대한 결과는 스칼라로 나온다. * 벡터의 회전 벡터 H = Hx i + Hy j + Hz k의 회전은 rot H로 표시하고 계산은 rot H = ▽×H로 한다. * 가우스(Gauss)의 발산 정리 체적 적분과 면적 적분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정리. 발산의 정리는 임.. 2020. 6. 8. 이전 1 다음